본문 바로가기

Language/JS

산술 할당 증감 연산자 1. 산술 + - x / %(나머지 연산자) 2. 할당 // var -> 재선언 재할당 전부 가능 // let -> 재선언 불가 재할당 가능 let a = 3 a = 5 // ok let a = 3 let a = 2 //Error // const -> 재선언 재할당 전부 불가능 const a = 3 a =4 //Error 3. 증감 let a = 2 console.log(++a) console.log(a) // 해당 출력문 실행하기 전에 a 값에 1을 더해라 (출력 3 3) console.log(a++) console.log(a) // 해당 출력문 실행 후에 a에 1 더해라 (출력 2 3) 더보기
Type 확인 //데이터 타입 확인 // console.log(typeof a) // 근데 이걸로는 null, 배열[] 객체{} 는 확인하지 못한다. // Js에서는 함수도 타입으로 친다. console.log(typeof 'hello' === 'string') console.log(typeof 123 === 'number') console.log(typeof false === 'boolean') console.log(typeof undefined === 'undefined') console.log(typeof null ==='object') console.log(typeof[] === 'object') console.log(typeof{} === 'object') console.log(typeof function (.. 더보기
참과 거짓 // 참과 거짓 /* * -- boolean으로 받아들여질 시 거짓으로 간주되는 것 * (1) false * (2) 0, * (3) null, * (4) undefined * (5) NaN * (6) '' -> 빈 문자열 * (7) 0n -> Bigint란 타입으로 0을 나타낸것. * --이외에 모든 숫자 문자는 전부 참-- * 배열은 비어있어도 참임 * NaN은 잘못된 수학 계산, 잘못된 숫자를 의미한다. * ex) 0/0 ===NaN(잘못된 수학 계산), 100/"hi" === NaN (잘못된 숫자) * */ if(null){ console.log('참') } else{ console.log('거짓') } 더보기
Component가 무엇인지, Props로 상위 컴포넌트에서 하위 컴포넌트로 값 주고 받기 1.컴포넌트 : 재사용이 가능한 개별적인 여러 조각 UI(User Interface)는 여러 개의 Component로 나뉜다. 카톡 화면은 위와 같이 5개의 컴포넌트로 나뉘는 것이다. 컴포넌트는 java로 치면 매소드 같은 녀석이다. 2. 컴포넌트의 종류 (1) 클래스형 컴포넌트 a. 쓰기 위한 조건 - React.Component라는 클래스를 무조건 상속해야 함. - render() 라는 함수를 사용해야 하고, 위 함수의 return 값에다가 하고 싶은 내용물을 적어야함. b. state, lifestyle(생명 주기)라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음. c. 함수 형 컴포넌트보다 메모리를 더 사용한다는 단점. (2) 함수형 컴포넌트 a. state, lifestyle이라는 기능을 사용하지 못함. 따라서 Ho.. 더보기
일치 연산자와 동등 연산자 유형 형태 뜻 예시 ===(일치 연산자) a === b a와 b가 type이 같은지 check type이 같다면 값이 같은지도 check 1 === 1 // true 1 === "1" // false 1 === true // false ==(동등 연산자) a == b 연산자가 a,b를 형 변환 해가며, 내용물이 같은지를 check 0 == 0 // true 0 == [ ] // true 0 == false // true 동등 연산자 사용 시 헷갈리는 경우가 많아 가독성이 저하되므로, 일치 연산자를 되도록이면 사용할 것! 더보기
Function **제일 중요 포인트** (1) 함수 이름만 적으면 그것은 함수 코드 전체(함수 데이터)를 의미 한다. function A () { return 123 } console.log(A) (2) 함수이름() 라고 적으면 이것은 해당 함수를 호출하겠다는 의미이고, 해당 함수가 실행된 결과가 반환된다. function A () { return 123 } console.log(A()) 1. 스스로 해보기 // hello 출력하는 함수 만들어서 함수 데이터 출력, 그냥 호출 function hello () { console.log("Hello!") } console.log(hello) hello() // 123을 반환하는 함수 만들어서, 함수 데이터 출력 시 type, 그냥 호출 시 type function getN.. 더보기
Object 객체 Java의 객체랑은 다른 느낌. 여긴 클래스라는 설계도도 없고, 매소드도 저장 안함. C++의 Struct랑 비슷한 개념이다. 멤버를 key : "Value" 형식으로 넣는다. 1. 특징 (1) 객체 내부의 멤버들 사이에 정해진 순서가 없다. 따라서 출력 시 무작위 순서로 나온다. (2) 만약 객체 내부에 같은 이름의 Key를 다시 선언 한다면, 제일 최근에 선언한 Key의 Value 값으로 Value가 갱신 된다. user ={ name = "Quan xiu Min" age = 87 age = 27 } // age 출력시 27이 나온다. 2. 형식 /* Object 객체 생성 방법 3가지 */ // 1. Object() 생성자 함수 사용 user = Object() user.name ="SooMin" .. 더보기
JS에서의 배열 Java랑 비슷한 듯 /*Array (배열)*/ // 1. 배열 선언 방식 2가지 // (1) 정식 방식 weeks = new Array("Mon", "Tue", "Wed", "Thur", "Fri", "Sat", "Sun") // (2) 대괄호 리터럴 방식 weeks =["Mon", "Tue", "Wed", "Thur", "Fri", "Sat", "Sun"] // 2. 출력 // (1) 배열 전체 출력 console.log(weeks) // (2) 배열의 특정 요소 출력 console.log(week[0])// Mon 을 출력 // (3) 배열의 길이 출력 console.log(week.length) 배열 이름 = [ ] 방식이 대괄호 리터럴이라 불리는 이유. 기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만드는 것을 리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