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사한 내용 📖
(1) DART 정기 공시 분석
A. 사업의 내용
주요 사업: 손해 보험법, 제 3보험업, 허용되는 범위 내의 자산 운용과 보험업외의 사업도 수행 중성과:- 2024 회계연도에 당기 순이익 1조 7105억 (보험 수익 8조 7136억원, 장기 보험업 7조 618억원, 자동차 보험 7,394억원, 일반 보험 9125억원)
방향성- 보장성 중심의 장기 보험 판매전략 유지
- 자동차와 일반 보험은 우량 계약 유입 확대를 통해 사업 효율성 강화를 중점적으로 추진
- 핵심 사원 중심 자원 투입
- 투자 부문의 리스크 관리와 신 수익원 창출에 집중하여 회사의 수익성, 재무 건전성을 제고
B. 산업의 특성, 성장성
손해 보험업의 정의: 우연한 사건으로 발생하는 손해로 인한 위험을 보장, 이에 따라 발생하는 보험의 인수, 보험료, 수수 및 보험금 지급 등을 영업 (일반 손해 보험(화재 보험, 해상 보험, 특종 보험), 자동차 보험, 장기 손해 보험,)특성:- 가계성 상품 구성비가 높다보니 주로 국내 시장에 의존하는 내수 산업의 성격
- 불특정 다수의 보험 가입자로 부터 보험료 각출, 그것을 기초로 경제적 위험 분산 = 공공성
- 최근 보험 계약법 개정 등 법적 환경 변화 + 사회 안전 인식 제고와 관련 정책 시행, 기타 신종 위험 증가 -> 새로운 대응이 요구됨.
경기 변동의 특성- 실손 보상 중심의 장기 상품 및 자동차 의무가입 등 다른 산업 보다는 경기에 덜 민감하게 반응 (경기 후행적 특성)
- 투자 손익의 비중이 높아 시장 금리와 주식 시장 동향에 수익성이 좌우됨.
성장성- 2023년 IFRS17 제도 도입 이후 신계약 CSM 확보 경쟁 심화라는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지속적으로 발전 중
C. 국내외 시장 여건
시장의 안정성 HIGH: 최근 금융 시장 변동성 확대 등 불안 요인은 많으나, 제도 개선 업계 내실 강화를 통해 손해보험시장의 수익 성장은 지속되리라 예상경쟁 상황:- 최근 국내 손해 보험 시장은 성장률 둔화 및 수익성 악화에 직면, 수익성 제고를 위한 다방면 노력 요구됨
- 2023년 IFRS17 제도 도입 이후 신계약 CSM 확보를 위한 경쟁이 심화되고 있음
- 자동차 보험은 가격 경쟁 심화
- 일반 보험 역시 경기 둔화에 따른 성장률 둔화로 작은 파이를 먹기 위해 경쟁 심화
- 소비자 보호 강화, 고객 정보 관리 및 사전 리스트 통제가 현 업계 주요 ISSUE
(고객 민원 감축을 중심으로 한 고객 서비스 개선 및 리스크 관리 강화에 대한 업계 전반의 다양한 노력이 진행 중)
D.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및 회사의 경쟁상 강점
- 당사는 1922년 국내 최초로 설립된 손해보험회사로서 가장 오래된 보험사로만 머물러 있지 않고, 혁신을 통해 대한민국 보험산업의 발전을 선도
- 경쟁이 심화된 손보 시장에서 당사는 고객의 만족을 최우선 가치로 삼고 본업 경쟁력 바탕으로 한 안정적인 수익 창출
지속 성장을 위해 아래 역량 확보 및 강화 중손해율 관리 역량: 손해율이 높아지면 보험사의 수익성이 악화되므로 안정적으로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적정 보험료를 산정하고 리스크가 높은 계약 선별, 데이터 기반으로 위험 예측 및 가격 정책 최적화를 통해 세부 시장 별 당사의 경쟁력을 면밀히 분석하여 대응 중선제적 리스크 관리 역량: 기존 리스크 관리 뿐만 아니라 급변하는 환경에 신속하게 대응, 사전에 리스크 예측 및 대비 시나리오 + 포트폴리오 운영보험 상품 경쟁력 제고: 고객 만족을 최우선 가치로 삼고, 소비자 니즈를 반영한 차별화된 상품 개발하여 고객 확보하고 유지 중판매 채널 운용 전략 및 영업력 제고: 다양한 니즈에 대응하기 위한 채널 다각화 및 각 채널 별 영업 경쟁력을 강화, 매출 확대 중
E. 회사가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주요 수단
- 언더라이팅 강화 + 효율적 사업비 절감 - 보험 영업 부문에서 지속적인 이익 이 가능한 정책 계속 수행중
- 안정적인 투자 이익 확보를 위한 포트폴리오 관리: 탄탄한 이익 체력 확보
인보험 중심의 장기 보험 판매전략 유지+ 업계 최고 수준의 장기 상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매출 확대와 수익성 중심 성장세 계속할 계획자동차 보험: 정교한 프라이싱과 언더라이트을 통해 우량 포트폴리오 확보일반 보험: 손익 변동성에 대응할 수 있는 체력 확보, 리스크 선별하여 헷지하는 능력 갖추어 수익성을 기반으로한 성장 정책 추진- 안정성 중심의 투자 자세 유지
- 선제적 위기 대응 체제 구축을 통한 위험 관리 강화
(2) 메리츠 화재, ESG 무관심 --- 역대급 실적 불구 사회 공헌 인색
링크: https://it.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2023092130275
메리츠화재의 수익성과 실리를 우선하는 경영철학에 따라 매년 역대급 실적 달성 중 (2024년 3분기 누적 순익은 1조 4928억으로 역대 최대)
(3) 매리츠 화재의 기업 문화
탈권위주의, 원리 원칙보단 목표 지향성, 업무 효율성 및 자율성의 극대화, 철저한 성과 보장
2. 모르는 단어 정리
IFRS17 제도: 국제 회계 기준, 보험 부채를 시가 평가하는 것이 핵심 (기존 IFRS4를 대체하여 2023년 1월 1일부터 시행됨. 보험 부채 시가 평가 -> 보험업과 타 금융산업의 비교 가능성을 제고해 보험 회사의 재무제표 이용자(=투자자 등)의 이해도를 높임)신계약 CSM: 신계약 서비스 마진 -> 신규 보험 계약을 통해 미래에 얻을 것으로 예상되는 미실현 이익의 현재 가치를 의미
(보험 수익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 IFRS 17 도입 이후 더욱 중요성이 커짐)제고: 수준이나 정도를 끌어올림언더라이팅: 보험 회사가 보험 가입 신청자의 위험을 평가하고 그 위험을 인수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헷지(hedge)한다.: ‘울타리를 쳐서 외부로부터의 위험을 막는다’
3. 내용의 수치화, 인사이트 나누기📊
- 현재 삼성 화재와 양강 구도 (업계 1위,2위를 다툴정도로 성장)
- 작년 3분기 역대 최대 실적 달성
- 원리 원칙보다는 성과 중심, 목표 지향적인 그룹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