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사한 내용 📖
(1) BC카드-로드시스템, 외국인 특화 결제 서비스로 K-관광 만족도 높여
서비스 이름 외국인 관광객 대상 Trip-Pass
:
- 외국인이 본국에서 발급받은 카드로 별도 수수료 없이 잔액 충전 및 사용 + 결제금액의 1% 페이백 혜택도 가능하다. (입국 시 이스타 항공편에서 실물 카드로 살 수 있고, 카드 뒷면 QR 코드로 앱으로 사용 가능)
- 업계 최초로 선보인 EMV 규격 QR 결제 서비스
- 실물 카드 구매 안해도, 트립 패스 앱을 통해 간편 결제 가능
(2) 이게 가능한 이유?
A. BC 카드는 국내 최대 규모의 카드 발급 인프라를 가졌다.
(1300여 평의 규모 설비, 연 3000만장 이상 발급 가능)
- 자체 공정 및 재고 관리 시스템을 통해 고객가 맞춤 카드 플레이트 제작부터 고객 발송까지 실물카드 발급과 관리에 필요한 제반 서비스 제공
- BC 카드의 개방형 API와 국내 최다 가맹점(2023.12월 기준 약 343만 개)을 통해 업종과 규모에 관계 없이 카드 결제 서비스에 필요한 인프라를 비용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
- 실제 네이버 페이, 카카오 페이, SPC 그룹 등 주요 핀테크 기업은 물론 국내 주요 해외 송금 전문 스타트업들도 BC 카드와 손잡고 실물 카드 선보임.
B. 2018년 업계 최초로 국제 결제 표준 규격의 QR 코드 결제 서비스를 출시
페이북 또는 제휴 서비스의 앱을 통해 생성한 QR 코드를 가맹점주가 리더기로 판독해서 결제하는 CPM 방식
가맹점에 비치된 QR 코드를 고객이 앱으로 스킨하는 MPM 방식 모두 지원
이처럼 업계 선도적으로 구축한 QR결제 인프라의 범용성과 편의성에 따라 주요 핀테크사도 자사 간편결제 서비스 사용처 확대를 위해 BC카드와 손잡고 있다.
(3) [이슈] 비씨카드, 중앙亞 디지털 전환에 앞장..."금융의 BTS로 거듭난다"
링크: https://www.paxetv.com/news/articleView.html?idxno=178920
A. 키르기스스탄 시작으로 글로벌 금융 BTS 도약
- 현재 BC 카드는 중앙 아시아 정부의 핵심 과제인 금융 인프라 선진화에 기여하며 해외시장에서 민간 사업자로서의 신뢰성을 확보하려고 함 (첫 타자: 키르기스스탄)
- 키르스스탄은 현재 카드 이용 금액이 전년 대비 129% 늘었지만, 결제 인프라가 열악해서, 40만 사업자 중 결제 단말기 설치 가맹점 수는 1만개에 불과해서 확충이 시급함.
- 비씨 카드는 키르기스스탄 중앙 은행 산하 공기업 IPC와 체결한 업무 협악에 따라 키르기스스탄 중앙 은행과 산하 지불결제 기관을 대상으로 지불 결제 시스템 공급 예정
- 비씨카드는 IPC와 협력해서 키르기스스탄 결제 시스템 고도화, QR 결제등 현지 맞춤형 비접촉식 결제 기술 이식할 계획
B. 베트남 몽골 등 N2N 기술 수출 방점
- 범국가 결제망 연결(N2N) 기술을 몽골에 수출 중 (몽골 중앙 은행과 전략적 파트너십 맺고,몽골-한국 간의 N2N 사업 추진 및 몽골 내 디지털 금융 인프라 구축 중)
- 이제 몽골 국민은 자국 결제 브랜드 T-Card를 국내 ATM 과 가맹점에 이용할 수 있게됨.
- 베트남 국영결제망 사업자 NAPAS와 비현금 결제 프로모션 협력에 관한 업무 협약 체결
국내 가맹점에서 베트남 NAPAS 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양국 간 네트워크 연결 완료
C. 생활 밀착 플랫폼 기업으로 도약 '페이북 고도화'
- 간편결제앱 페이북에서 결제 서비스 뿐만 아니라 생활과 밀접한 서비스 제공해 고객 유치한다는 전략
오르락
서비스- KB 증권 제휴를 통해 계좌 개설부터 주식 거래, 잔고 조회 등 핵심 기능을 담은 투자 서비스
- 국내외 주식 종목을 최소 1000원 부터 투자하는 소수점 투자 기능
- 카드 소비 혜택으로 모아온 페이북 머니로도 투자 가능
- AI 활용한 맞춤형 투자 정보 서비스, 공모주 일정, 투자 관련 주요 이벤트 안내
- 토론방 커뮤니티 서비스
담비
서비스- 금융사의 부동산 대출 상품을 간편하게 비교 신청할 수 있는 제휴 서비스
- 전, 월세 대출을 한번에 비교
- 신청까지 원스톱으로 가능
-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한 NFT 관련 국내 특허를 출원
- 페이북 내 고객의 전 금융권 자기 자산 정보가 이미지화 돼 블록체인에 NFT로 저장된다는 게 골자
2. 내용의 수치화, 인사이트 나누기📊
- 국내 최대 규모 카드 발급 인프라 갖춤
- 국내 최대 규모로 결제 등록 가맹점 보유 (2023.12월 기준 약 343만 개)
- 업계 최초 EMV (국제 표준) QR 서비스 선보임 - 실물 카드 없이 QR 결제 가능
3. 추가 조사한 내용 📋
(1) 모르는 내용 정리
EMV 규격
: Europay, MasterCard. Visa 등이 공동으로 제정한 스마트 카드 결제 관련 국제 기술 표준
(EMV 규격에 맞는 카드와 결제 단말기는 전 세계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음.)
4. 요약 ✍️
BC 카드는 외국인이 본국에서 발급 받은 카드 혹은 자사 앱만 있으면 별도의 수수료 없이 국내 BC 카드 가맹점 내에서 결제가 가능하도록 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BC 카드의 국내 최대의 카드 발급 인프라망과 업계 최초로 EMV 국제 결제 표준에 맞춘 QR 결제 서비스를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BC 카드는 국제적 기업이 되기 위해 여러 이웃나라에 솔루션을 판매하고 있으며, 범 국가망 네트워크 구축에 힘쓰고 있다.
5. 적용할 점(현직자에게 할 질문) 🧐
범 국가망 결제 서비스를 하려면, 더욱이 중요한 것이 결제 서비스의 안정성 이겠군요?
6. 연관기사 링크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