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색 표현의 원리
(1) 색 이름으로 표현
p {
/* 글자색 */
color: yellow;
/* 배경색 */
background-color: black;
}
(2) RGB(A)로 표현
*형태
rgb(빨강,초록,파랑)
rgba(빨강,초록,파랑,불투명도)
* 각각 0~255이고, 전부 255 하면 흰색, 전부 0하면 검정색 (%로 쓸 수도 있다.)
불투명도는 값이 낮을수록 투명, 높을수록 불투명.
*rgb()만 하고 인풋 4개 넣어서 불투명도 표현도 가능하다.
p {
/* 글자색 */
color: rgba(100,50,20%,50%);
/* 배경색 */
background-color: rgb(200, 150, 300);
}
(3)HEX로 표현
RGB랑 똑같은데, 위의 10진수를 16진수로 표현한 것
#FFFFFF는 rgb(255,255,255)와 같은 말이다. 16진수 2개씩 묶어서 빨, 주, 파를 담당
16진수가 2 개씩 묶이니까 하나로 둘 다 같은 값이면 하나로 묶어 표현도 가능하다.
(ex- #FFFFFF == #FFF, #555555 == #555)
p {
/* 글자색 */
color: #FF3234;
/* 배경색 */
background-color: #000;
}
(4)HSL(A)로 표현
hsla(색상, 채도, 명도, 불투명도)
불투명도는 선택사항. input 넣어도 되고, 안 넣어도 됨.
채도 높을수록 쨍한 색깔
명도 높을수록 밝아짐
전부 그냥 숫자 or 퍼센트로 쓸 수 있음.
p {
/* 글자색 */
color: rgb(194, 47, 47);
/* 배경색 */
background-color: hsla(0, 0%, 0%, 100%);
}
2. 스스로 해보기
위에꺼 만들면서 했으니까 생략
0